잎은 녹색을 싫어한다 - 호기심천국

- 홈지기 (114.♡.11.73)
- 09-01
- 422 회
- 0 건
나무나 풀잎이 녹색으로 보이는 것은 엽록체가 녹색이기 때문. 그러면 엽록체는 왜 녹색을 띄고 있는가. 녹색은 태양의 흔히 일곱색으로 표현하는 가시광선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많은 색깔. 그런데 물질이 색깔을 띄게 되는 것은 그 색깔만 반사해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물의 잎, 엽록체는 녹색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여 반사해버리기 때문에 녹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엽록체는 자외선 근처의 자색광과 적외선 근처의 적색만을 원자재로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므로 녹색은 필요없는 색깔이 되는 셈. 적색과 자색 광선을 받으면 엽록소는 전자를 발산, 이웃의 엽록소에 전달한 다음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것.
이때 전자의 속도는 놀랍게도 1억분의 1초나 된다. 이처럼 전자의 자극을 받은 엽록소는 다시 태양광 에너지를 엽록소 에너지로 전환하여 광합성 물질로 변신시킨다는 것. 엽록소 한 개의 크기는 1밀리미터의 200분의 1. 세포 하나에 무려 50~200개나 들어 있다고. 식물의 광합성은 그야말로 정밀화학 공업인 셈.
- 한국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