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우면 왜 벌벌 떨게 되는가? - 호기심천국

- 홈지기 (114.♡.11.73)
- 09-01
- 410 회
- 0 건
건강한 사람의 체온은 환경과 계절에 관계없이 36.5도 전후로 일정하다. 이는 뇌의 체온조절 중추가 더워지면 땀을 흘려 열을 발산하고 추워지면 몸을 움추려 열의 발산을 적게 하는 등 갖가지 조절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추워지면 몸이 벌벌 떨리는 것도 이러한 체온 조절작업의 하나. 기온이 내려가면 체온조절 중추는 근육을 수축시켜 체열을 발산, 몸을 따뜻하게 한다. 그래도 체온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추우면 근육 수축을 더욱 강화하게 되고 마침내 몸을 덜덜 떨게 된다.
그런데 추울 때만이 아니라 공포감을 느낄 때도 몸을 덜덜 떠는 것이 보통이다. 이 역시 근육 수축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추울 때 떠는 것과 다른 것은 몸을 덥게 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만약에 대비해서 체열을 높여줌으로써 움직이기 쉽게 하려는 것이다. 즉 도망을 쳐야할 상황이나 대결을 해야할 상황에 대비한 유비무환 현상이다.
- 한국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