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요리정보

대나무밥, 열 식히고 성인병 예방 - 약선요리법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열대야로 잠을 설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열대야로 잠을 설친 다음 날은 하루 종일 조는 둥 마는 둥하며 일을 하게 되니 일의 능률이 떨어지고 직장 동료들의 눈치도 피할 수가 없게 된다.

특히 화와 열이 많은 소양인과 태음인의 경우 더운 날 에어콘과 선풍기를 최대한 돌려도 시원하지가 않기 일쑤다.얼음을 씹어 먹어도 먹을 때만 시원할 뿐이다.더욱 힘든 것은 금방 지은 밥을 시원하게 먹을 방법이 없다는 사실이다.더운 여름철 금방 지은 음식을 먹자니 모두 뜨거운 것 뿐이어서 더위만 더할 뿐이다.이렇듯 몸안에 화와 열이 많아 더운 여름 뜨거운 음식을 먹기가 힘든 사람들에게 '대나무밥'을 만들어 먹어 보길 권한다.

한방에서 대나무는 잎과 줄기는 물론 뿌리까지 모두 한약재로 쓰인다.성질은 달면서도 찬 성질을 가져 심장, 위장, 폐의 열을 내려주는 효능을 나타낸다.특히 대나무의 줄기를 긁어서 이용하는 '죽여(竹茹)'는 심장과 폐의 열을 내려주며 가래를 삭게 하고 위열로 인한 구토, 구역, 속이 메스꺼운 증세를 없애 준다.

대나무를 60㎝ 길이로 쪼개서 중심부분을 가열하면 물이 나오는데,이것을 모은 '죽력(竹瀝)'은 열을 내리는 작용이 강하고 담을 없애주며 중풍, 정신혼미, 졸도, 폐열로 인한 숨차고 가슴이 답답한 증세에 좋다.

따라서 대나무통에 쌀을 넣고 밥을 하게 되면 대나무 속의 죽여와 죽력의 효능이 밥에 스며들게 되어 더위를 물리치고 몸 건강도 다스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자신의 체질에 맞게 현미, 율무, 팥, 녹두를 더 넣으면 화와 열을 내리며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고 화병, 얼굴과 목의 땀, 가슴이 답답하거나 열이 얼굴로 올라가는 증상을 예방할 수도 있다.

대나무통밥은 그러나 소화기능이 약하거나 몸이 찬 체질의 소유자들에겐 어울리지 않는다.체질적으로는 소양인·태음인과 궁합이 맞고 소음인에게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 만드는 법

①한 쪽은 막히고 한 쪽은 뚫리게 대나무(지름 5㎝ 이상)를 자른다.

②현미 멥쌀, 녹두, 팥, 율무, 검은 콩 등을 물에 불린다.

③대나무통에 소양인은 현미와 팥 녹두를 넣고,태음인은 현미와 율무 검은 콩을 넣는다.

④대나무통을 찜통에 넣고 찐다.

- 국민일보/김수범 우리한의원 원장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