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탕', 머리 맑게 해주고 열 내리는 효과 - 약선요리법

- 홈지기 (114.♡.11.73)
- 08-19
- 422 회
- 0 건
시험 보는 것을 즐겁게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그렇지만 누구나 시험이라는 과정을 겪으며 살아야 한다.자신의 목적을 이루거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선 시험이란 시험대에 올라야 하는 경쟁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시험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에는 의욕적으로 덤벼들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정신적·육체적으로 지치게 마련이다.때문에 시험공부는 자연히 인내와 지칠줄 모르는 체력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1년 이상의 준비기간을 요구하는 대입 수능시험의 경우 막바지에 이르면 심신의 피로가 누적된 탓으로 밥맛이 없어지고 체력이 떨어지는 증세를 겪기 쉽다.
수험생 자녀를 둔 학부모는 이럴 때 체력을 보강해줘야 한다며 무조건 고칼로리의 보양음식만 먹이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오랜 수험준비로 몸에 심화가 많이 쌓였을 땐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음식도 수험생의 타고난 체질과 현재의 몸 상태를 가려서 먹을 때 ‘식보’로서의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예컨대 몸에 화기와 열기가 많고 기운이 머리쪽으로 많이 올라 늘 얼굴이 붉고 여드름도 많이 난 상태라면 고단백의 보양식품보다는 시원한 조개탕이 더 효과적이다. 조개에는 모시조개, 대합, 바지락, 재첩, 피조개, 꼬막, 홍합 등 여러 종류가 있다.조개는 성질이 차면서 맛은 달고 짜다.한의학적으로는 음기를 보충하고 혈액의 생성을 도와 열을 내려주며 간독을 풀어주는 작용을 가진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얼굴이 항상 붉게 상기되거나 머리가 자주 아프거나 뒷목과 어깨가 뻣뻣하고 눈에 충혈이 잘서며 얼굴에 여드름이 많이 나는 경우에 머리를 맑게해주고 열을 내려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체질적으로는 특히 소양인과 태양인이 먹으면 좋다.그러나 몸이 차거나 소화가 잘 안되는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좋다.
▽ 만드는법
①조개를 깨끗하게 손질해 냄비에 넣고 물을 넉넉하게 부은 다음 팔팔 끓인다.
②끓이다가 거품이 많이 생기면 걷어내야 국물을 맑게 할 수 있다.
③조개가 입을 벌리기 시작하면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④너무 오래 끓이면 질기므로 간을 한 후에 파를 넣고 조금만 더 끓여 불에서 내린다.
- 국민일보/김수범 우리한의원 원장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