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요리정보

비타민B 풍부 '꽁치' - 음식이야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최근 일본과 어업분쟁이 불거지면서 가치가 더욱 돋보이는 꽁치는 영양가에 비해 값이 저렴해 ‘국민생선’으로 손색이 없다. 꽁치는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요즘에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생선이다. 몸이 칼처럼 날카롭고 길다는 이유로 추도어, 추광어 등의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꽁치는 계절에 따라 지방질 함유량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여름철 꽁치는 지방 함유량이 10% 정도이나 10월, 11월께에 잡히는 꽁치는 지방질이 2배이상으로 늘어난다. 또 산란을 마친 12월 쯤에는 다시 지방질이 5%로 줄어든다. 결국 ‘서리가 내려야 꽁치가 제 맛이 난다’는 말 처럼, 이때 먹는 꽁치가 가장 감칠맛이 뛰어나다.


꽁치는 단백질 함량도 20% 정도로 다른 생선에 비해 월등하다. 질 또한 우수하여 가을철 스태미나 식품으로 손색이 없다. 일반적으로 필수아미노산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로 들어있는 식품으로 달걀을 꼽지만, 꽁치는 필수아미노산이 달걀의 95%정도에 달해 영양의 보고라 할 만하다.


또 꽁치의 붉은 살에는 비타민 B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비타민 B는 빈혈치료에 효과적인 성분으로, 특히 꽁치의 배 언저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더욱이 꽁치에 포함된 지방질은 쇠고기나 돼지고기의 그것과는 달리,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소화와 흡수가 잘 된다. 따라서 동물성 지방을 경계해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권장된다. 불포화지방산은 노화와 성인병을 예방하고 평소 허리와 무릎이 부실한 사람에게 좋은 성분이다.


이렇듯 꽁치는 겨울잠을 자는 동물이 가을에 영양식을 맘껏 먹어두는 것 처럼 사람에게도 혹한에 견딜 수 있는 저항력을 길러 주는 좋은 음식이다. 특히 얼굴이 창백하고 기운이 없거나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들은 꽁치의 배 부분과 신선한 내장을 함께 먹으면 더욱 좋다.


그러나 꽁치는 산성이 강하기 때문에 영양의 균형을 위해 채소 등 알칼리성 식품과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꽁치의 신선함이 보장된다면 내장까지 함께 먹는 것이 좋다. 보통 내장을 함께 먹어도 안전한 생선으로 꽁치와 은어 정도를 꼽는다.


꽁치는 외관상 꼬리 부분이 누런 빛을 띠는 것일수록 고급으로 취급한다. 한편 꽁치를 먹고 설사나 두드러기를 호소하는 경우 이는 몸에 맞지 않는 것이므로 무리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 문화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