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미, 주근깨 방지에 '딸기' - 음식이야기

- 홈지기 (114.♡.11.73)
- 10-09
- 422 회
- 0 건
봄처녀의 다홍치마처럼 상큼한 딸기는 보기만 하여도 입안에 침이 저절로 고인다. 새콤달콤한 딸기를 먹고 나면 텁텁하던 입 맛도 깔끔하게 정리된다.
충치를 예방한다고 알려진 자일리톨 덕분이다. 자일리톨은 자작나무 수액의 정제 성분으로 알려졌지만 실은 야채와 과일에도 들어있다. 그중 딸기에 특히 많아 100g 중 326㎎이나 들어있다.
비타민이 풍부한 딸기는 환한 봄햇살 아래 나른해지는 몸을 깨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비타민C가 풍부해 귤의 1.5배, 사과의 10배나 된다.
따라서 대여섯개만 먹어도 하루동안 필요한 비타민C를 모두 공급받을 수 있다. 식이 섬유소인 펙틴도 많아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므로 고지혈증이나 고혈압 환자들의 간식으로도 그만이다.
또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세포와 혈관을 튼튼하게 해 노화를 막는데도 한 몫 한다. 따가운 봄볕으로부터 피부를 지키는데도 딸기만한 것이 없다. 비타민C는 물론 비타민E, 베타카로틴 등 여러가지 비타민 성분들이 기미나 주근깨가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
딸기의 종류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다. 흔히 먹는 딸기는 스트로베리, 그밖에도 블루베리, 크랜베리, 라즈베리 등이 있다. 외국산인 블루베리 등은 신선한 것을 구하기가 어려워 냉동된거나 소스로 이용하는 것도 괜찮다. 비타민은 파괴되었지만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프렌치 패러독스’란 말이 있다. 육류와 포도주를 즐기는 프랑스인에게 뜻밖에도 심혈관계질환이 적다는 데서 유래된 말인데, 프렌치 패러독스의 비밀이 바로 적포도주의 안토시아닌에 있다.
붉은 색소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작용을 하는 안토시아닌은 블루베리나 적포도주에 있는 것이나 동일한 작용을 한다. 안토시아닌은 시력을 보호하는 효과를 내기도 한다.
망막에는 로돕신이란 색소가 있어 빛을 순간적으로 분해, 재합성하는 것을 반복, 뇌를 자극하고 사물을 볼 수 있게 하는데, 안토시아닌은 로돕신의 재합성을 돕는다.
수정체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작용하는 모양체 근이 약해지는 것도 방지한다. 덕분에 학생, PC 작업을 오래 하는 직장인, 골퍼 등이 먹으면 이롭다.
한방에서 복분자라 부르는 딸기는 산에 자생하는 나무딸기의 열매를 일컫는데 약용으로 쓰인다. 복분자란 명칭은 산딸기를 먹은 노인이 소변을 시원하게 보자 요강이 엎어졌다는 데서 유래된 것. 본초강목에 따르면 신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남자들의 사타구니가 축축하거나 자신도 모르게 정액이 흘러나오는 유정을 치료한다. 지나치게 정력을 소비해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어지면서 성기능이 약해진 사람에게도 좋다. 여성의 불임증에도 효과가 있다.
- 문화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