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 - 진통제만 사먹다 "… - 질환과정보

- 11-24
- 603 회
- 0 건
두통은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짐작할 수 없는 "두통거리"이다. 여성에게 많은 "편두통"은 머리의 한 쪽에서 시작돼 극심한 통증때문에 토하기까지 한다. 중년 에게 많은 "긴장형 두통"은 뒷목이 뻐근하면서 머리 앞뒤나 관자놀이가 조이는 듯 아픈 경우가 많고 남성에게 많은 "군집성(군발성)두통"은 눈 관자놀이 머리 등이 찢어질 듯 아프다. 이렇게 두통이 있을 때 병원치료를 받으면서 생활 습관을 바꾸면 감쪽같이 낫기도 한다. 편두통 때엔 초콜릿 치즈 소시지 오렌지 햄 양파 땅콩 등을 덜 먹고 어떤 방법으로든 수면습관을 바꿔본다. 긴장성 두통일 때는 진통제 담배 커피를 피한다. 군발성 두통일 때도 수면습관을 바꾸는 것이 좋고 특히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은 코수술을 받는다. 두통에는 이들 외에 종류가 많다. 환자는 대부분 "신경성", "편두통"등으로 자가진단하고 진통제만 사 먹으며 병원을 찾지 않는다. 이 중엔 하루빨리 진료받아야 할 병일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원인을 알면 고칠 수 있는데도 우물쭈물하다가 원인병과 두통을 함께 키우는 일도 많다.
두통의 종류와 치료법
◇ 뇌(수)막염
- 특징 : 뇌를 싸고 있는 막에 염증세포가 증가, 원인이 다양, 뇌척수액검사로 확인
- 예방치료법 : 원인별로 항균제 투여, 대중치료 등 치료법 다양.
◇ 뇌염
- 특징 : 주로 여름과 초가을에 일본 뇌염모기에 물려 발생, 단순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발생.
- 예방치료법 : 3세에 2회, 4세에 1회 백신 기초접종 뒤 15세까지 2년에 한번 추가 접종 받아 예방가능 초기치료가 중요.
◇ 뇌종양
- 특징 : 중이염 축농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에 세균이 침입해 염증이 일어 난 것.
- 예방치료법 : 항균치료가 기본, 때에 따라서 원인질환의 치료나 고름을 빼내는 시술을 받아야 함.
◇ 뇌실질내출혈
- 특징 : 뇌출혈 중 가장 빈도가 많음. 뇌 안의 혈관이 갑작스런 혈압상승으로 터진 것.
- 예방치료법 : 옛날엔 두개골을 절개, 혈종을 제거했으나 요즘 국소마취뒤 미세 바늘을 이용한 수술이 활발.
◇ 지주막하출혈
- 특징 : 뇌동맥이 꽈리 모양으로 부풀어 오른 "뇌동맥류"가 터짐.
- 예방치료법 : 뇌동맥류를 특수집게로 묶어 출혈을 막는다.
◇ 약물의존성두통
- 특징 :무분별한 약 사용으로 생긴다. 편두통 환자가 아무 약이나 사먹어 생기는 경우도 많다.
- 예방치료법 :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약을 끊고 금단증세를 줄이는 치료를 받는다.
◇ 만성매일두통
- 특징 : 뚜렷한 원인 없이 거의 매일 아픈 경우가 많음.
- 예방치료법 : 원인과 증세에 따라 약물치로.
◇ 심인성두통
- 특징 : 우울증 불안장애 등 심리적 원인에 의해 생김.
- 예방치료법 : 정신과 치료로 원인이 되는 정신질환을 고쳐야 함.
◇ 긴장형 두통
- 특징 : 스트레스가 많고 한 자세로 오래 근무하는 직장인에게 오후에 잘 생김.
- 예방치료법 : 진통제 근육이완제 신경안정제 등으로도 효과.
◇ 편두통
- 특징 : 피로 스트레스 음식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대뇌 혈관이 갑자기 수축했다가 확장하고 염증반응이 생기면서 통증이 옴.
- 예방치료법 : 대중요법과 예방요법이 있다. 신경과의사가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기본.
◇ 군집성 두통
- 특징 : 군발성 두통이라고도 함. 주로 남성에게서 발생. 눈주위가 찢어질듯한 통증.
- 예방치료법 : 소염진통제 혈관수축제 등으로 약물치료.
◇ 만성경막하출혈
- 특징 : 뇌진탕 등으로 뇌정맥이 파열돼 서서히 출혈. 놔두면 핏덩이가 진다.
- 예방치료법 : 수술로 핏덩이를 제거.
◇ 뇌종양
- 특징 : 두 개 내의 어느곳에서든 비정상적인 조직이 자라는 것.
- 예방치료법 : 두개절개수술 방사선치료 약물치료 등으로 치료.
◇ 녹내장
- 특징 : 안구의 방수가 빠져나가지 않아 안압이 높아져 시신경이 상하는 것.
- 예방치료법 : 약물치료 및 수술요법. 증세에 따라 치료법이 다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