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건강정보

당뇨병과 식사요법 - 질환과정보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당뇨병이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생산부족 또는 각 기관에 작용하는 인슐린 기능 저하로 나타나는 장애이다. 이 결과 혈액 중의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가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도, 저장되지도 못하고 혈액 내에 쌓여 혈당을 높이고 결국 소변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당뇨병은 완치될 수 없지만 조절할 수 있으며,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을 병행하여야 한다. 또 식사요법만으로도 당뇨병의 80%는 관리가 가능하고, 치료는 평생을 통해 계속되어야만 한다.

당뇨병에 대한식사요법의 목표는 첫째로, 적절한 혈당과 혈중지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참고로 공복시 혈당은 70~100mg/dL, 중성지방은 200mg이하/dL, 총콜레스테롤은 200mg이하/dL이다. 둘째로, 표준체중을 유지하는 것인데, 이 때 체중은 혈당조절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셋째로, 균형식을 공급하는 것이다. 즉, 표준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식사량은 줄여야 하지만 여러 식품을 균형있게 먹어야 한다.

올바른 식사방법을 위해서는 첫째로, 매일 일정한 시간에 알맞은 양의 음식을 섭취하고, 둘째, 단순당(사탕, 꿀, 쨈, 설탕, 엿, 껌, 조청, 쵸콜렛, 쿠키, 케이크, 양갱, 가당요구르트, 과일통조림, 아이스크림, 약과, 유자차 등)의 섭취를 피한다. 이러한 단순당은 소화흡수가 빨라 쉽게 혈당을 올린다. 셋째, 혈당과 지질 농도를 낮추며 부피가 커 포만감을 주는 섬유소를 적절히 섭취한다. 넷째, 지방은 적절히 섭취하고 콜레스테롤 섭취를 제한한다. 특히 합병증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있을 경우 가급적 지방은 식물성 기름으로 섭취한다. 다섯째, 혈압 상승의 위험 때문에 소금섭취를 자제한다. 여섯째, 열량을 많이 내는 음주는 자제한다. 예를 들어 밥 1공기는 약 300kcal를 내고, 이는 소주 1/2병, 맥주 1과 1/3병, 양주 2~3잔과 같다. 일곱째, 외식하는 경우 설탕이나 기름이 많은 음식이나 성분을 알 수 없는 음식은 피한다. 여덟째, 운동과 약물 사용으로 인한 저혈당에 대비하여 식사를 여러 번에 나누어 계획하며 항상 간식(사탕, 과자 등)을 준비한다.

운동요법은 의사와 상의하되 부담없는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도록 한다. 운동을 하면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체지방량 감소 및 근육량 증가로 인하여 체중도 감소되고 혈관 합병증을 예방하여 혈중 지질농도도 감소되며, 인슐린 요구량 감소뿐만 아니라 고혈압 예방 차원에서 혈관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도 해소된다.

식사요법과 운동요법만으로도 혈당조절이 불충분할 때 약물요법을 실시하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약물에 따라 효과 발현시간, 최대 효과시간, 지속시간이 다르므로 의사와 논의하여 약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복용하며 식사와 운동을 조절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주의하여야 할 당뇨병에 따른 증상 두 가지를 들자면 먼저 저혈당증 즉, 인슐린 쇼크가 있다. 이 때 공복감, 어지러움, 식은 땀, 두통, 심하면 의식장애와 경련이 일어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응급처치로 과즙, 꿀물, 콜라, 사탕 등의 단순당 식품을 먹이거나 포도당을 주사하여 혈당을 빨리 올리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당뇨병성 혼수인 케톤증이 있는데 여행이나 기타 이유로 인슐린 주사를 중단하거나 주사량을 지키지 않고 과량의 식사나 당분을 섭취하여 케톤체가 혈액 중에 증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응급처치로 신속하게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고 탈수를 막기 위해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주사로 공급하고 구토증이 없는 경우에는 소금기 있는 맑은 국물을 마시고 얼마 후 쥬스, 사이다 등을 마시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원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