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공허감 지속 우울증 의심 - 질환과정보

- 11-22
- 600 회
- 0 건
흔히 우울증이라는 말을 들으면 자신과는 상관없는 병으로 여긴다. 또 많은 사람들은 우울증을 병으로 생각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치유되는 것으로 여기기도 한다. 우울증은 전 인구의 15%가 한 번 이상 경험하는 흔한 질병. 이 중 10%가 자살할 정도로 지극히 위험한 병이다.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많은 것도 특징.
▽ 진단
다음 아홉 가지 증상 중 다섯 가지 이상이 2주 이상 계속될 때는 우울증으로 진단한다. ①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②흥미.즐거움 저하 ③식욕부진, 체중감소(혹은 식욕증가나 체중증가) ④불면(혹은 수면과다) ⑤정신운동성 초조.지체 ⑥피로감, 기력상실 ⑦가치감 상실, 지나친 죄책감 ⑧사고력.집중력 저하, 우유부단함 ⑨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과 자살사고, 자살기도.
▽ 원인
심리 또는 질병으로 인한 신경전달 물질(노예프네프린)의 감소, 신경내분비계의 조절이상, 유전적 요인, 분노, 내향성, 의존적 성격, 지속적인 열등감, 유년시절 부모와의 관계, 학습된 무기력, 죽음이나 헤어짐, 상실, 과다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어느 한 요인이 우울증을 일으킨다기보다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된다.
▽ 증상
초기에는 우울 불안 초조 고민 쓸쓸함 비애 등 감정장애가 가장 대표적. 상태가 악화되면 죄의식 열등감 허무 망상 등 사고장애와 의욕감퇴 무관심 행동지연 등 행동장애가 나타난다. 신체적으로는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불면증에 시달리게 되며 식욕이 떨어지고 소화불량 체중감소 피로 두통 권태감 성욕감퇴 증세가 나타난다. 이 밖에 집중력과 기억력이 급속히 떨어지고 판단력이 흐려지며 착각 등 인지장애 증상을 보인다.
▽ 치료
우울증은 정신치료와 약물치료를 함께 하는 "통합치료"가 효과적이다. 이때 광성(光線)치료, 행동치료, 예술치료, 전기충격치료 등을 함께 쓰기도 한다. 또 우울증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신치료"나 "인지치료"만 시행할 때도 많다. 우울증 환자는 어느 정도 자신의 병을 인식하지만 정신과에 와서 치료받는 사례는 많지 않다. 특히 많은 사람이 약물치료만 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거나 정신과의 약은 중독된다는 오해도 큰 영향을 준다. 가족이나 친지 등 주위 사람들의 편견도 치료를 가로 막는 주요 방해요인이다. 우울증 치료약은 중독성이 없으며 치료를 너무 늦게 시작하거나 부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약을 장기 복용해야 하는 때가 많아 오해를 낳는 것이다. 약은 삼환계 항우울제와 단가아민산화효소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이 쓰인다. 우울증 치료에서 중요한 점은 약물치료와 함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 심리적.사회적 측면의 치료를 함께 하는 통합치료가 효과적이다.
- 매일경제신문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