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건강정보

테니스-골프 칠때 잘 걸리는 … - 질환과정보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신체 일정한 부위만 무리해서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면 오는 질환이 있다. 가장 흔한 것이 팔을 많이 써서 팔꿈치에 통증을 느끼는 "테니스 엘보"다. 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관절에 있는 "상과"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과는 팔꿈치의 안쪽과 바깥쪽에 튀어나온 뼈를 가리킨다. 상과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많은 힘줄이 있는데 이 힘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염증이 생기고 힘줄이 뼈에서 들뜨거나 힘줄의 내부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해서 통증이 온다.

테니스나 골프 등 팔을 많이 쓰는 운동을 과하게 하는 경우 발생해서 "테니스 엘보"라는 이름이 붙었다. 테니스를 할 때 좋지 않는 백 자세에서 팔꿈치 이상이 온다. 팔꿈치가 구부러진 자세로 볼을 치면 볼에서 건네지는 근육의 충격량은 팔을 펴서 칠 때보다 상당히 커서 무리를 주게 되는 것. 또 줄이 너무 팽팽해도 같은 이유로 팔꿈치에 무리가 올 수 있다. 운동을 거의 하지 않다가 갑자기 테니스나 골프 수영 등의 운동을 할 때도 아플 수가 있는데 팔과 손목이 약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테니스 라켓을 잡아보지 않았는데도 '테니스 엘보'에 걸렸다는 주부들도 많다. 빨래를 짤 때, 마루를 닦을 때 등등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뒤로 젖히는 운동을 일상에서 반복하다가 발생한다.

상과 부위를 손으로 힘껏 눌러서 심하게 아프면 일단 테니스 엘보로 생각해야 한다. 아픈쪽 팔꿈치를 완전히 펴고 손목을 다른 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있으면 거의 정확히 테니스 엘보다.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물건을 들거나 밀 때는 물론 악수할 때나 열쇠를 돌릴 때, 머리를 빗을 때도 통증을 느끼며 팔아래까지 힘이 빠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치료는 염증을 가라앉히면서 파열된 힘줄의 회복을 도와주면 대부분 완치된다. 냉찜질을 하면서 손목과 팔꿈치 관절을 쉬게 하는 것이 우선이다. 소염제와 초음파 전기자극등의 온열 물리치료를 하면 도움이 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4∼6주간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치료가 되었다가 재발되고 만성화되는 경우에는 수술을 해야 하는데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수술법이 "너슬씨"라고 하는 수술이다. 팔꿈치 상과 부위를 절개해서 극초단파를 이용해 염증부위를 제거하고 파열된 힘줄을 원래자리로 복원시키는 수술이다. 수술시간은 20분 정도 걸린다.


- 세계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