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건강정보

돌출심한 ‘푸른 힘줄’ 방치하면 병된… - 질환과정보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다리에 푸른 힘줄이 많이 돋아났어요” 최근 서서 일하는 시간이 많은 여성들중 이같은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의사들은 “푸르게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힘줄이 아니라 정맥”이라고 지적한다. 다리피부표면쪽의‘표재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 생긴‘하지정맥류’로 인해 생긴 증상이라는 것이다.
다리의 정맥순환은 크게 심부정맥과 표재정맥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표재정맥은 보조적인 역할만 하는 게 순리.그런데 오랫동안 서서 일하면 하지정맥에서 심장으로의 혈액순환이 방해받게 되고, 심부정맥과 표재정맥간 혈류가 거꾸로 흐르게 되는 일이 생긴다.
정맥류는 이 때 많은 양의 피가 표재정맥으로 들어가 고이는 바람에 힘줄이 돋듯 피부표면에 두드러지는 병증.남성보다는 여성에게 2∼3배쯤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을지병원 피부과 김영걸 교수는 “실제로 임신으로 복압이 증가한 경우에 잘 생기며, 이밖에 세탁소-교단-식당-백화점-병원-엘리베이터 등 오래 서 있는 직장여성에게서 흔하다”고 말했다.
하지정맥류를 장기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정맥류내에서 피가 엉겨 혈전을 형성하게 되고, 그 부위의 피부가 검게 변색된다.심한 경우 피부가 상해서 벌어지기도 하며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쉬 피로해진다.
치료는 초기에는 적당한 운동, 휴식, 압박스타킹 착용 등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그러나 증상이 심할 때는 수술이나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다.이중 수술은 병든 표재정맥과 정맥류를 제거하는 것으로 입원을 해야 하며, 수술후 약간의 흉터가 남는다.그래서 무릎이하에 국한된 정맥류나 모세혈관에는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하는 주사경화요법이 권장된다.


- 국민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