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건강정보

부정출혈, 불규칙적으로 비치는 하혈 - 자가처치법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1년 전 자궁암으로 어머니를 잃은 박모씨(36).최근들어 생리와 상관없는 피가 비치자 당황했다. 이상한 것은 남편과의 부부관계 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
자궁암이 아닐까 걱정하며 병원을 찾았지만 다행히도 자궁입구에 조그마한 혹(폴립) 외에는 특별한 질병이 없는 것으로 판명됐다.섹스에 의한 자극으로 폴립과 주변 질점막이 손상돼 혈액이 스며나온 것이다.
정상적인 여성의 생리는 24∼32일 간격으로 3∼7일 지속되고, 양은 30∼80㎖ 정도.따라서 이같은 정상범위를 벗어난 불규칙적인 출혈을‘부정출혈’또는‘자궁출혈’이라고 부른다.한방에선 이를 혈붕(血崩) 또는 혈루(血漏)란 병명으로 통칭한다.
전문가들은“성 생식기 질환의 3대 증상은 냉증, 하복통, 출혈이며 이중 부정기적 출혈은 여성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가장 유의해야 할 적신호”라고 말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은 임신과 관련된 것으로 전치태반과 태반조기박리, 자궁외임신 등을 들 수 있다.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입구를 막은 채 임신말기에 출혈을 야기하는 산과 질환.또 태반조기박리는 태반이 자궁벽에서 벽지처럼 떨어져 나오는 것으로 역시 응급을 요하는 산과 질환이다.
전치태반이 통증없이 대량 출혈을 일으키는 것과는 달리 태반박리는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 자궁외임신은 처음에는 아랫배가 묵직하게 아파오다 2∼3주 지나면 나팔관이 찢어지면서‘변비 때 밑이 빠지는 것 같은’ 통증을 일으킨다.
임신과 무관한 출혈로 대표적인 질환은 자궁에 질병이 있을 때.폴립이 있거나 경부암·자궁내막증식증 ·근종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같은 출혈이라도 부부관계 후 나오는 경우 자궁입구가 헐어 나타나므로 혈액량이 많지 않고 붉은색을 띠는 것이 특징.그러나 양성종양이나 폴립이 자궁 속에 있을 때는 피가 고였다가 나오기 때문에 검붉다고 보면 옳다.
마지막으로 자궁내막증식증이나 암이 있을 때도 출혈이 있는데 펑펑 쏟아질 때는 선홍색, 자궁에 머물렀던 혈액이 유출될 때는 검붉은 색깔을 띤다.자궁에 병이 없다면 호르몬 분비 이상을 체크해야 한다.여성의 생리를 주관하는 뇌하수체의 기능장애로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과 황체호르몬(프로게스트론)의 부조화를 일으켜 자궁에 형성된 내막층이 조금씩 탈락되면서 출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기능부전성 자궁출혈은 양이 많지 않으면서 특별한 신체적 증상도 없다는 게 특징.기능부전성 자궁출혈에 도움이 되는 민간요법으로는 건강(잘 말린 생강을 충분히 볶은 것)과 약쑥을 달여 마시는 방법이 있다.
▽ 만드는 법
①약쑥 아교주 건강 등의 한약재를 재료로 준비한다.
②약쑥 40g에 아교주 20g, 건강 4g의 비율로 혼합, 약탕기나 주전자에 넣고 물을 800㏄쯤 붓고 달인다.
③물이 완전히 끓기 시작한 뒤 불의 세기를 반쯤 줄여서 30분가량 더 달인다.
④하루 3회 따뜻하게 데워 마신다.
- 국민일보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