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u-Hanam Logo

로그-인

건강정보

백봉령 - 약초이야기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백년 묵은 노송의 뿌리에 생긴 일종의 혹이며, 옛부터 유명한 강장 한약이다.

이는 위장, 간장, 췌장, 신장 등의 병에 탁월한효과가 있으며 다른 한약제와 함께 쇠약자, 만성위장병, 피로회복 등의 약제로 널리 이용된다.

또한 일체의 성병, 부인병에 효력이 있다.

복령, 당귀, 건강(말린 생강), 백출, 감초등을 합한 약제는 부인병약의 으뜸이며, 이것을 먹으면 몸이 더워져서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소나무를 베어 낸 곳에 자라며 재배도 한다. 베어 낸 지 여러 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지름 30~50㎝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난다. 속이 흰 것은 백복령이라 하고 분홍빛인 것은 적복령이라고 하는데 백복령은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 뿌리에 기생한다. 그리고 솔뿌리를 둘러싼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폐경(肺經)·비경(脾經)·심경(心經)·신경(腎經)·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비장이 허(虛)하여 몸이 붓는 경우와 담음병에 사용한다. 그밖에 게우는 데나 복수·설사·건망증·수면장애 등에도 처방한다. 위·간·이자·신장 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된다. 또 남녀의 임독성 질병은 물론 모든 성병과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복령 [白茯苓]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og_In Rss Page List Page Write Page